본문 바로가기
º 배울 거리/ª 주식?

2024.11.23 ETF 세금 알아보기.

by 틱틱톡 2024. 11. 23.

아무래도 투자를 하려면 수수료든, 세금이든 신경을 안쓰는 범위내라면 알아볼 필요가 없겠지만,

월급 수준의 수익을 내고자 한다면 세금을 안 알아 볼 수가 없어서 찾아 보고 정리를 해야겠다.

 

* 네이버에서 'ETF 세금' 을 검색 결과 참고한 블러그

 

 

. 블러그 내용 정리 : 

 

 - 블러그에 정리된 요약된 표에 내용 추가.

구분 국내 주식형 ETF 국내 상장 해외주식형 ETF 해외상장 ETF (미국)
증권거래세 면제 면제 SEC Fee 0.00229%
배당소득세 15.4% 15.4% 15%
양도소득세 대주주이거나
50억 이상인경우 한정
15.4% 22%
금융소득 종합과세 2,000만원 초과시 과세 대상
비고   매매차익, 분배금에 대한 이중과세
ISA 계좌이용시 유리하다.
(ISA계좌는 금융종합과세 대상이였던 사람은 비과세 혜택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기에 알아볼 필요있음)
연간 250만원 기본 공제 후 과세(수익, 손실 통산)

 

더보기

    - ETF 투자와 관련해서는 크게 증권거래세, 배당소득세, 양도소득세 등이 부과 됨

    - 증권거래세 : etf 거래시에는 면제   (미국 etf의 경우 증권거래위원회 수수료 SEC Fee 0.00229% 내야함)

    - 배당소득세 : etf에서 발생한 분배금과 매매차익. 지방소득세 포함 15.4%

                            (국내 해외 동일 적용? 미국원천징수 15%라는데...이부분은 조금더 찾아봐야할듯.)

                           배당소득세는 원천징수 방식 으로 국세 14% + 지방세 1.4% 를 합하여 15.4% 임.

                          (배당금 입금시 세금을 떼고 입금해줌)

                          배당소득세는 개인은 ISA계좌를 활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 이외의 방법이 없으나

                           (ISA계좌에는 해외상장 etf 담을 수 없음!)

                          , 법인의 경우 법인세 10%납부하면 되기 때문에 개인보다 유리하다.

    - 해외상장 etf : 매매차익에 대한 양도소득세. (해외 etf만 해당됨.)

  배당소득은 연간 배당소득과 이자소득 합계가 2,000만 원을 초과하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 포함됨.


   . 종합소득세 포함되는 항목 

     - 금융소득 (아래를 모두 합하여 2천이 넘는지 확인해야함)

      .. 이자소득 : 은행예금 및 적금이자, 채권이자, 회사채, 국채, 지방채 등의 이자

      .. 배당소득

     - 근로소득
     - 사업소득
     - 연금소득
     - 기타소득


   . 2024년 금융소득이 2천만원 이상이라면 2025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납부 해야함.

   . 직장인의 경우 근로소득, 사업자의 경우 사업소득과 합산하여 과세됨.

   . 2천초과분에 대해서 소득세율(6.6% ~ 49.5%)를 적용하여 세금을 더 납부함.

   . 건강보험료 추가 납부  기준 (블러그 작성일 기준)


   .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있는 사람이 배당소득이 발생하여 세금을 내는 경우가 발생하면 피부양자 자격박탈하여 건강보험료를 내야함.

   . 인적공제를 받으려면 기본공제 대상자는 연간 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여야한다.(2천만원 이상 소득이 생기면 인적공제 대상 아님) (혼자사는 사람은 해당 없다.)

     식구중에 금융소득이 없거나 적어서 과세 대상이 안되는 사람이 있다면 몰빵 보다는 나누어 2천만원을 안넘기게 할 수도 있다. (혼자사는 사람은 해당 없다.)

 

 

- 종합소득세 세율 정보

국세청>국세신고안내>개인신고안내>종합소득세>기본정보>세율

더보기

※ 세율 적용 방법 :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액

【예시】 2023년 귀속

과세표준 30,000,000원 × 세율 15% - 1,260,000원 = 3,240,000원

종합소득세 세율 (2023년 귀속)

종합소득세 세율 (2023년 귀속) -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포함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4,000,000원 이하 6% -
14,000,000원 초과 50,000,000원 이하 15% 1,260,000원
50,000,000원 초과 88,000,000원 이하 24% 5,760,000원
88,000,000원 초과 150,000,000원 이하 35% 15,440,000원
150,000,000원 초과 300,000,000원 이하 38% 19,940,000원
300,000,000원 초과 500,000,000원 이하 40% 25,940,000원
500,000,000원 초과 1,000,000,000원 이하 42% 35,940,000원
1,000,000,000원 초과 45% 65,940,000원

 

* 이해한 내용 정리.

근로소득
임대소득
기타소득 등
(A)
배당소득
(B)
배당소득원천징수 15.4%
(C)
분리과세
2천이하
15.4%
(D)
종합소득세  산정액
(계산 : A + B - 2000)
(E)
과세표준
해당구간
과세구간 세율 과세구간
공제액
소득세 지방세
10%
최종 얼마 낸다는 거지..;
4000 4000 616 308 6000 5천 초과 ~
8.8천 이하
24% 576 864 ? ...여기까지는 아직 모릅니다.
세무 신고 해주는 분께서 해주실테니.. 넘어가는 걸로....


* 여타소득이 없거나 적다면 종합과세가 높아지지 않는다~!! (A) 에 해당하는 수익이 높지 않으면 원천징수액만 내게 된다.

건강보험료 : 분리과세도 연 1천만원 이상이면 건보료 부과하지만

                     언젠가 1천만원 안되는 소득에도 건보료 부과될것이다.

                     비과세 대상 금융 상품의 이자는 아예 과세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건보료를 절대 부과될 수 없다 

 

* 종합소득세를 계산했을 때 이미 원천징수 한 금액보다 더 많이 나오면 

   종합소득세 계산된 세액 - 원천 징수액 하여 나온 금액을 추가 납부

* 종합 소득세 계산된 세액 보다 원천징수금액이 많거나 같으면 추가 납부할 금액은 없다.

  (원천징수액은 다시 돌려주지 않으므로 되돌려 받을 금액 없다.)

* 다른 소득이 없을 경우 세전 연 7400 ~ 8800  사이, 월 700 만원 정도 선이면 추가 세금 없다고 한다.   이 금액은 시기나 계산 방식에 따라 차이가 살짝 날 수 있으나, 대충 400~ 500정도선에 만족한다면 추가 납입금액이 없을 것이라는 말인것으로 보인다.

허나 금융소득 이외 근로소득, 임대소득, 국민연금 등에 의한 소득이 있을 경우 세금이 더 늘긴 하지만 폭탄이라고 생각하기 이전에 계산을 먼저 해보기를 권한다.

 

* 추가로 배당 ETF 장기투자할시 세금은 좀더 알아보기는 해야할거 같다.

  관련 내용.

ETF 장기 투자, 세금 절세 전략| 보유 기간별 혜택과 전략 가이드 | 장기 투자, ETF, 세금 혜택 : 네이버 카페

 

ETF 장기 투자, 세금 절세 전략| 보유 기간별 혜택과 전략 가이드 | 장기 투자, ETF, 세금 혜택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 'ETF 장기 투자'

 - 1년 이상 보유하면 '장기 투자 손익' 으로 분류되어 세금혜택을 볼 수 있다.

   1년 이상 보유시 양도차엑에 대한 세금은 20% (?)

 - 10년 이상 장기 보유시 양도 소득세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10년 이상 보유시 양도차엑에 대한 세금은 10%  (?)

 - 주식형 ETF는 배당소득세, 채권형 ETF는 이자 소득세를 낸다.

 

* 관련 영상 추가로 찾아봄.

  첫 영상 잼투리님이 영상에서 설명해주는 표만 봐도 도움이 될듯함.

 

배당소득 세금 얼마나 낼까? 2023년 개정된 배당 종합소득세 정리

 

영상에서 보여주는 표 캡쳐(미국 배당소득기준 표라고합니다.)

 

 

그 외 찾아본 영상 몇가지

 

배당금 세금 총 정리 | 금융소득종합과세·건강보험료·배당소득세 | 세금 걱정 없이 배당주 투자하는 법 (2024년 Ver.)

 

직장인이 배당금 3천만원 받으면 내는 세금 / 금융소득종합과세와 건강보험료

 

 

금융소득 2천만원 초과 시 종합소득세는 얼마나 낼까!?(종합소득세 계산 방법 예시) - YouTube

 

금융소득 종합과세 되면 세금 더 낸다? 완벽한 착각입니다. [오해와 진실]

 

...

아..세금 복잡하다.

결론적으로 많이 벌어서 좀더 내는 것일 뿐임.

대충 2천만원 넘어가면 연수입이 10억이 넘어가서 세율 45%를 받을 확률은 없고,

배당소득은 이미 배당소득세를 원천징수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종소세 계산을 한뒤에 원천징수액을 뺀만큼만 더 내면 되는 것이라고 봄.

 

대충 배당소득위 3분의 1  안팎정도가 떼어질거라고 알아 듣는 중이고,

자세한건 세무신고 해주시는 분에게 맡기면 됨 ;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 잘~ 잊지말고 하면된다.~!!!